https://mon-1000.tistory.com/ 부정맥의 증상,원인 및 치료 방법 알아보기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6433184/skin/images/jquery.toc.min.js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정맥의 증상,원인 및 치료 방법 알아보기

by 골드핑거888 2023. 7. 8.

부정맥은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을 말하는 것으로 어떠한 원인과 증상이 있는지, 어떠한 치료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은 정상적인 심장 박동의 교란이 일어나서 심장 박동의 타이밍과 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했을 때 심장 박동이 빨라지거나 늦어지고 혹은 불규칙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부정맥의 원인과 위험 요인 

부정맥의 원인은 기저 질환에서 생활 습관 요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근본 원인 :

 

1. 심장병 :

 

부정맥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관상동맥병, 심장마비, 심부전 및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포함한 심장병입니다. 

이러한 상태는 정상적인 전기 경로를 방해하고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합니다. 

 

2. 전해질 불균형: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과 같은 필수 전해질의 불균형은 심장의 전기 신호를 방해해서 부정맥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특정 약물, 신장 장애, 호르몬 불균형이나 부적절한 영양소 섭취로 인해 발생합니다. 

 

3. 유전적 요인 : 

 

특정 유전적 돌연변이는 심장의 전기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부정맥에 더 취약하게 만듭니다. 긴 QT증후군, 브루가다 증후군, 비대성 심근병증과 같은 유전 질환은 부정맥과 관련이 있습니다. 

 

4. 스트레스 및 정서적 요인 : 

 

정서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 불안 및 공황 발작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방출을 자극하여 심장의 전기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잠재적으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갑상선 장애 : 

 

갑상선 호르몬은 심장의 전기 활동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은 둘 다 심장의 리듬을 방해하게 됩니다. 

 

6. 연령 및 성별 : 

 

나이가 들어 노화가 되면 심장의 전기 시스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여성에 비해 부정맥, 특히 심실성 부정맥에 더 취약합니다. 여성의 경우엔 노화가 일어나면 심방세동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습니다. 

 

7. 기타 의학적 상태 : 

고혈압, 당뇨병, 만성 신장 질환, 만성 폐 질환 및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의학적 상태는 부정맥 발생 위험을 더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부정맥의 증상 

경고 징후 인식 : 심계항진, 어지러움, 가슴통증, 숨 가쁨과 같은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간헐적 증상 : 산발적인 특성과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증상으로 인해 부정맥 진단이 어렵기도 합니다. 

 

부정맥의 진단/ 검사

1. 심전도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가슴, 팔, 다리에 전극을 배치하여 심장의 전기 신호를 감지하고 기록합니다. 

2. 홀터 모니터 

홀터 모니터는 심장의 전기 활동을 24~48시간 또는 그 이상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휴대용 심전도 장치입니다. 

3. 이벤트 모니터 

홀터 모니터와 마찬가지로 이벤트 모니터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휴대용 장치로서 일반적으로는 최대 30일까지 더 길게 사용 가능합니다. 

4. 운동 스트레스 테스트 

러닝머신 테스트는 신체 활동에 대한 심장의 반응을 평가합니다. 

5. 심초음파 

심초음파는 음파를 사용하여 심실, 판막, 혈류패턴을 포함한 심장 구조의 영상을 생성합니다. 

또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며 부정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조적 이상 또는 근본적인 심장 상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의 유형

1. 심방 세동 : 심방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하고 빠른 심장 박동을 특징으로 하는 가장 흔한 유형의 부정맥을 말합니다. 

2. 심실 부정맥 : 심실 빈맥 및 심실세동과 같이 심실에서 발생하는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입니다. 

3. 서맥 : 느린 심박수를 말합니다. 

 

부정맥의 경과 및 합병증 

진단에 따라 치료가 필요 없는 부정맥이나 시술만으로도 완치가 되는 부정맥도 있고 완치가 불가해서 약물치료를 계속해야 하는 부정맥도 있습니다. 또한 인공 심장박동기 또는 제세동기와 같은 보조 기구를 몸에 이식해야 하는 부정맥등 치료 방법과 경과 예후가 매우 다양합니다. 

 

부정맥의 예방 및 생활 수칙

부정맥을 예방하려면 심장 건강에 좋은 생활 방식을 채택하고 기저 질환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다음은 부정맥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5가지 팁입니다. 

 

1.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 균형잡힌 식사

- 활발한 활동 유지

-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 알콜 및 카페인 제한

 

2. 금연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키고 혈압을 높이며 심장 질환을 유발하여 부정맥의 원인이 되곤 합니다.

 

3. 기저 질환 관리 

-고혈압 조절

- 건강한 콜레스테롤 수치 유지

- 당뇨병 관리 

- 갑상선 질환 치료

4. 각성제 섭취 제한 

처방전 없이 구매가 가능한 의약품, 보조제등을 유의합니다. 이들 약 중에는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각성제가 들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 복용 전 항상 설명서를 읽고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5. 정기 검진 및 투약 준수 

심장 모니터링을 위해 반드시 정기 검진을 받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결론]

부정맥은 다양한 유형, 원인이 있는 복잡한 심장 상태입니다. 원인을 보다 잘 이해하고 증상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예방 조치를 잘 시행하도록 합니다. 적절한 의료적 시행은 상태를 좀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부정맥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 적절한 의료, 건강한 생활 방식이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반응형